#python #anaconda #jupyter-notebook #visual-code #html #css #javascript #http

제목[공지] 중간고사 성적 및 자가 채점 방법 (+ 주의사항)2022-05-05 10:52
작성자 Level 10

[1] 중간고사 성적 및 자가 채점 방법을 이캠퍼스 공지에 업로드 했습니다.


[2] 다음의 주의사항반드시 숙지 합니다 (처음 의도 대비, 문의 메일을 받다보니 글이 점점 길어졌습니다).


   - 중간고사 주의사항을 지키지 않은 학생이, 이캠퍼스 공지사항 조차 읽지 않고 메일로 연락을 한 후, 

     결국 "죄송합니다"를 연거퍼 언급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가 채점 프로그램 조차 돌려보지 않은 상태에서 문의를 하는 학생이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동일합니다 - "나는 분명히 잘 만들었는데, 점수가 낮거나 0점이다".

     본인이 잘못했을거라는 여지도 없이, 너무 쉽게 교수님의 채점 프로그램과 표준 답안이 안 돌아 간다고 하기도 합니다.

     프로그래밍이 그렇게 쉽고, 프로그래머가 1~2강좌나 1~2달에 만들어지면 개발자 몸 값이 그렇게 비쌀 이유가 없습니다.

     초보자 답게,, 읽으라는 부분은 읽고, 돌려보라는 부분은 돌려보고, 생각해 보라는 부분은 생각해 주기 바랍니다. 

     기말고사는 중간고사를 교훈삼고, 기출문제와 텀프로젝트를 얼마나 지속적으로 수행했는지가 관건일 겁니다.

     ( 참고로, 문의하는 학생이 있기에 언급하면,, 기말고사 시험 범위도, "시험 날 직전까지의 수업 내용" 입니다 )

     "개발자는 스스로 자라나는 것이지, 절대 타인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분명 내가 잘못 이해하거나 개발한 부분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본인이 무엇을 잘못했을지 문제를 찾고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초보 프로그래머가 가져야할 기초적인 덕목 입니다.


   - 따라서,, 점수가 낮거나 0점 이면, 바로 메일이나 게시판으로 문의하려고 하지 말고, 
     반드시 자가 채점 프로그램을 Visual Code를 사용하여 한 줄 한 줄 실행하면서 공부하기 바랍니다.

     Visual Code는 코드의 오류를 실행 전 미리 알려줘서 기본적인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며,

     프로그램을 한 줄 한 줄 실행하여 코드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Jupyter Notebook은 초보자가 쉽게 Python에 접근하기에 유용하여 알려 준 방법입니다.

      하지만 코딩 시험을 치뤄야 한다면, Visual Code와 친해져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 성적 공지후, 본인의 코드를 다시 봐달라는 문의를 개인 메일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이캠퍼스 공지 사항의 3-(1)과 3-(2)에 해당하지 않으면 회신하지 않습니다.    

      개인 메일 문의 후 회신이 없으면, 3-(1)과 3-(2)에 해당하지 않으니, 게시판에 글을 쓰기 바랍니다. 


   - 또한, 다음의 질문을 이메일로 하는 행위는 금지 합니다.
 

      (1) "중간고사 성적이 0점 혹은 낮은데 기말고사를 보면 학점 회복이 가능한가요?"

             => 모릅니다. 


      (2) "죄송하지만 구제를 해주세요. 장학금을 받으려면 학점이 필요합니다. 몰랐습니다. 착각했습니다. 억울합니다" 

             => 시험 전 그렇게 주의를 준 이유가 있습니다. 


      (3) "이번 여름 계절학기 수강이 가능한가요?"

             => 경희대학교는 1학기 수업의 여름 계절이 불가하며, 동계 계절이 가능합니다.


      (4) "문제별 부분 점수가 있습니까?"

             => 시험지의 주의사항을 참조합니다.


      (5) 기타 다음의 학생들이 본인의 코드가 왜 문제인지 아직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초 공부 바랍니다.

             => 강의노트와 영상을 시청하지 않아서, 강의노트의 코드들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

             => 함수의 입력 파라메타가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

             => return 구문을 사용하여 값을 전달하지 않고 print()로 출력한 경우 

             => 함수 이름을 한줄만 써놓고 제출해서, 전체 코드의 실행이 안되도록 에러를 만드는 경우

             => True/False를 return하라고 했는데, "True"/"False" 문자열을 return하는 경우

             => input()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중지하도록 만들어 놓고, 아직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는 경우 


[3] 궁금해 하는 학생들이 있어서 수강 학생의 학과별 평균 점수를 알려줍니다.


   - 일부 학과는, 수강 인원이 적어서 일반화 하기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SW전공자의 평균 점수가 '상당히' 높지는 않습니다.

   - 비전공자 학생 중 20점을 받은 학생은 중간고사 난이도는 낮으니 방심하지 말고 학습 바라며,

     성적이 낮은 전공자는 분발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비전공자 중 성적이 낮은 경우도, 이유없는 문이과 / 전공자-비전공자 갈라치기 하지 말고, 공부 열심히 하기 바랍니다.

   - 참고로 아래 표본은 "중간고사 미응시자"는 제외한 통계입니다.


학과수강 인원평균 점수
디지털콘텐츠학과220
스마트팜과학과120
스포츠의학과120
응용물리학과120
한국어학과120
행정학과120
Hospitality경영학부220
관광학부219
생체의공학과218
영어영문학과218
우주과학과718
경제학과316
중국어학과216
컴퓨터공학부15414
소프트웨어융합학과6814
식품영양학과113
생물학과112
식품생명공학과112
산업경영공학과2711
전자공학과7110
기계공학과69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58
응용수학과28
건축공학과27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14
건축학과13
미술학부12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12
골프산업학과10
국제학과10
유전생명공학과10
일본어학과10
한약학과10
댓글
이전중간고사 질문2022-05-05
다음url 열기 질문2022-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