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anaconda #jupyter-notebook #visual-code #html #css #javascript #http 제목[re]부동소수점 float 질문2021-09-16 10:41작성자조교 김성규안녕하세요. 조교 김성규입니다컴퓨터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0과 1로만 이루어진 이진법으로 저장이 되어야합니다.따라서 부동소수점 역시 일상생활에서는 십진법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지만그것을 컴퓨터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진법의 형태로 만들어주어야 합니다.이 그림은 32비트 크기의 float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방식을 나타낸 그림입니다.최상위 비트부터 부호(양수or음수), 지수, 가수 순으로 저장됩니다.예를들어 사진의 -118.625를 저장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음수이므로, 부호부는 1이 된다.그 다음, 절댓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면 1110110.101이 된다. (이진기수법을 참조)소수점을 왼쪽으로 이동시켜, 왼쪽에는 1만 남게 만든다. 예를 들면 1110110.101=1.110110101×2⁶ 과 같다. 이것을 정규화된 부동소수점 수라고 한다.가수부는 소수점의 오른쪽 부분으로, 부족한 비트 수 부분만큼 0으로 채워 23비트로 만든다. 결과는 11011010100000000000000이 된다.지수는 6이므로, Bias를 더해야 한다. 32비트 IEEE 754 형식에서는 Bias는 127이므로 6+127 = 133이 된다. 이진법으로 변환하면 10000101이 된다.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B%8F%99%EC%86%8C%EC%88%98%EC%A0%90 목록수정삭제답변글쓰기 댓글 [0] 댓글작성자(*)비밀번호(*)내용(*) 댓글 등록 더보기이전부동소수점 float 질문한민규2021-09-15다음step 4 코딩 질문 드립니다ㅇㄹㅇ2021-09-15 Powered by MangBoard | 워드프레스 쇼핑몰 망보드